예를들어 함수1에서 함수 5까지 동일한 변수를 넘겨줘야 한다고 할때, props 를 이용하여 매번 인자값을 pass 하여 넘겨주는게 번거롭다.
또한 경우에 따라 전역변수 처럼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. 이를 위해 사용하는것이 useContext 훅 이다. DI 와도 흡사해 보인다.
여러 컴포넌트에서 동시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경우 (예 : 로그인 정보) 사용하면 좋다.
//정의
import React from "react";
export const testContext = React.createContext({
value1 : "test",
value2 : 100,
....
});
//사용
import { useContext } from "react";
import {testContext } from ...;
const { value1 } = useContext(testContext);
const { value2 } = useContext(testContext);
만일 값을 바꾸고 싶을 경우, Provider 를 이용해 값을 배정한다.
import { TestContext } from "...";
...
<TestContext.Provider value = { 배정값1, 배정값2 } />
...
'FrontEnd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반적인 프로젝트 구조 (0) | 2024.11.26 |
---|---|
[Hook] useMemo, useCallback (1) | 2024.11.22 |
[With Typescript] 유의할점 정리 (0) | 2024.10.18 |
[With TypeScript] 모듈 export, import (0) | 2024.10.18 |
[With TypeScript] 초기 세팅 (0) | 2024.10.18 |